작물재배
home
주요작물재배
home

퇴비에 톱밥이 섞여있는 중요한 이유

가축분 위주로 만든 퇴비의 문제점

톱밥이 들어가지 않은 가축분을 축사에서 실어와 밭에 바로 뿌리는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 톱밥 없이 가축분으로만 만든 퇴비는 탄질율(C/N 비율), 수분 조절, 퇴비화 과정의 효율성 등 여러 측면에서 문제가 많습니다.
탄질율 불균형 (C/N 비율)
미생물들은 탄소(C)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질소(N)를 단백질과 같은 세포 성분을 만드는 데 사용합니다. 탄질율(C/N 비율)이 적당해야 미생물들이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가축분에는 질소가 풍부하지만 탄소는 크게 부족합니다. 이런 탄소가 부족한 재료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기 힘들어 좋은 퇴비가 만들어지지 않고, 암모니아 냄새도 많이 납니다.
수분 과다 문제
가축분은 수분 함량이 높습니다. 톱밥처럼 건조한 재료가 수분을 흡수해주지 않으면 산소 부족에 의한 혐기성 분해가 일어납니다. 이것은 퇴비 숙성을 늦추고 부패가 발생시킵니다.
퇴비의 물리적 구조
가축분도 유기물이기 때문에 토양을 입단화(떼알구조화) 하기는 하지만 유기물로 유지되는 기간이 너무 짧아 토양의 물리성 개선효과가 단기간에 사라집니다.

퇴비에 톱밥을 넣는 이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퇴비를 발효시킬 때는 탄소가 풍부한 재료와 혼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톱밥과 나무껍질은 탄소 함량이 매우 높은데 퇴비에 톱밥을 섞어 탄소와 질소의 균형이 맞춰지면 퇴비를 만드는 과정에서도 이점이 많고, 만들어진 퇴비의 품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됩니다.
탄소와 질소의 균형 유지 (C/N 비율)
질소에 편중된 가축분에 탄소가 많은 톱밥을 섞어 탄소와 질소의 균형을 맞춰주면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져 퇴비화가 원활히 이루어지며, 완성된 퇴비의 품질이 향상됩니다.
수분 조절로 악취 감소
가축분만 사용하면 수분과다에 의한 혐기성 발효가 진행돼 악취가 발생합니다. 이때 톱밥이 가축분의 수분을 적절히 흡수해주면 퇴비가 부패하지 않고 퇴비화 과정도 빨라집니다.
토양의 성질 개선
나무가 땅 속에서 미생물에 의해 썩은 후 흙 속에 남은 물질을 부식이라고 부릅니다.
리그닌, 셀룰로스처럼 분해가 잘 안되는 것들인데, 이 부식이 흙 속에 넉넉히 들어가면 식물의 뿌리 성장을 돕고, 토양의 성질을 크게 개선시켜줍니다.
하늘농약사에서 판매중인 퇴비를 예로들면 목질분(톱밥, 나무껍질)이 44% 차지하는데, 그 목질분에서 부식물질이 차지하는 부분은 약 15~25% 정도됩니다. 따라서 퇴비 20kg에서 만들어지는 부식물질은 1.3~2.2kg에 불과합니다. 이렇게 적은 양의 부식물질이 흙의 성질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부식의 효과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이곳을 클릭

생톱밥을 흙에 뒤섞으면 어떻게 되는가?

생톱밥을 흙 속에 넣으면 장기적으로는 토양에 큰 도움이 되지만 단기적으로는 적지않은 문제를 일으킵니다.
질소 부족 현상 (질소 고정)
탄소 함량이 매우 높은 생톱밥을 흙 속에 넣으면 미생물들이 톱밥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질소를 다량으로 소모합니다. 톱밥이 분해되는 1~2년동안 토양 속의 질소를 빨아들이기 때문에 만성적인 질소 결핍 증상이 발생합니다. 이 문제를 피하려면 질소를 계속 보충해줘야 됩니다.
미생물에게 질소를 떠먹이는 방법은 가축분(질소공급 효과는 더디지만 공급효과가 좀더 오래 지속)이나 요소비료(질소공급은 빠르지만 단기간에 질소 소진)를 주기적으로 계속 보충해주는것입니다.
토양 속의 수분 흡수
생톱밥은 토양 내에서 분해되는 동안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토양이 더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물을 대기 힘든 곳에서 생톱밥을 사용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생톱밥을 흙에 섞어 부식물질이 만들어지려면 환경 여건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2년의 기간이 걸려야 비로소 톱밥 속의 부식물질이 활용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톱밥 발효기간을 단축하려면 퇴비공장에서 하는 것처럼 톱밥에 발효균을 투여하고, 질소(가축분)을 보충해주고, 유익균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50~70℃까지 온도를 높여주고, 수분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해야 됩니다. 이렇게 하면 톱밥 발효기간을 6개월까지 단축할 수 있습니다.